본문 바로가기
  • 모든 성도가 가야 할 완전의 길
영혼의 글/사고의 유연성

[스크랩] 히브리인의 시간관-시간의 ‘순환’은 ‘선’(線)이 아니라, ‘주기적 반복’

by Andrew Y Lee 2019. 1. 5.

<!-by_daum->

 

 

  
시간의 ‘순환’은 ‘선’(線)이 아니라, ‘주기적 반복’


우선 인류가 - 시계가 발견되지 않았을 때 - 때를 측정하는 것은, 물리적 시간에 의해서 측정되지 않았고, 육체적 주기성(Rhythmus)에 의해서 감지(感知)되었습니다. 예컨대 여인들은 자신의 생리(生理)를 통하여 한 달(一月)이라는 시간을 감지하였습니다. 그래서 여인의 생리(生理)를 ‘월경'(月經)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이것은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도 이러한 생리적 혹은 신체적 감각을 통하여 시간을 감지하였습니다. 예컨대 철새들이 이동하는 날짜를 정하는 것은, 그들 나름대로의 신체적 리듬에 따른 변화에서 이동의 시간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예컨대 개미가 장마를 앞두고 이동하는 것도 그렇습니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인간에게 있어서 주관적(主觀的)인 시간을 알려주는 것은 ‘잠과 깸’, ‘일과 휴식’, ‘식사 시간’ 등입니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인간은 충분히 잠을 자고 8시간 후에는 자연히 깨게 되는 것과 같습니다. 심지어는 인간의 짧은 주기는 심장의 고동, 맥박, 호흡 등이 바로 그것입니다. 이외에 인간이 신체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시간의 주기성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의 공통점은 그것들이 시점(時點)과 시점, 혹은 하나의 지점(地點)과 다른 하나의 지점 사이에 존재하는 객관적 거리(距離)를 움직이지 않고도 시간을 인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밝음과 어두움의 규칙적인 교체, 혹은 달의 변화와 단계입니다. 그래서 히브리인들은 이 주기성에 의해서 시간을 구분하였습니다. 그래서 창세기는 “땅이 있을 동안에는 심음과 거둠과 추위와 더위와 여름과 겨울과 낮과 밤이 쉬지 아니하리라”(창 8:22)고 증언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히브리인들이 시간을 무한한 발전 혹은 변화로 보지 않고, 일정한 주기의 반복으로 이해하였다는 것을 암시해 줍니다. 그러므로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창 1:5)는 표현은 시간의 주기성을 의미하는 것이지, 수평적 시간의 연속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앞 절에서 창조 역사가 ‘제7일 안식일’로 끝나고, 이스라엘 역사가 ‘주님의 날’로 끝나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화해의 역사가 ‘마지막 날’의 ‘안식’으로 끝나는 주기성과도 유사합니다.  왜냐하면 이사야 선지가가 증언한 바와 같이, “이스라엘의 왕인 여호와, 이스라엘의 구원자인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나는 처음이요 나는 마지막이라 나 외에 다른 신이 없(기)”(사 44:6) 때문이고, 그 분만이 곧 창조주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나는 여호와라 나 외에 다른 이가 없나니 나 밖에 신이 없느니라. … 해 뜨는 곳에서든지 지는 곳에서든지 나 밖에 다른 이가 없는 줄을 알게 하리라 나는 여호와라 다른 이가 없느니라.
 나는 빛도 짓고 어둠도 창조하며 나는 평안도 짓고 환난도 창조하나니 나는 여호와라 이 모든 일들을 행하는 자니라.”(사 45:5-7) 이렇듯 하나님은 어제나 오늘이나 항상 계신 분이시기 때문입니다.그런데 이러한 ‘시간의 주기성’은 그리스 헬라인들은 ‘’ 혹은 ‘순환’으로 생각하였습니다. 그 원인은 태양의 순환에서 본 따 온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은 태양의 순환운동이 시간의 방향 설정을 위해서 이용되면서, 동시에 태양의 순환 운동에 관한 표상이 해당 시간에 전용된 것이라고 오렐리(C. v. Orelli)는 말합니다.  그러나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히브리인들은 태양의 운행에서 시간적 방향을 정하지 않고, 오히려 달의 변화 양상의 규칙적인 교체와 빛과 어두움, 더위와 추위의 주기적 교체에서 시간의 방향을 잡았습니다.” 그래서 히브리인들은 인생(人生)도 주기적으로 해석하였습니다. 즉 ‘흙’에서 나서 ‘흙’으로 돌아가는 것이 인생입니다. “네(= 아담)가 흙으로 돌아갈 때까지 얼굴에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먹으리니 네가 그것에서 취함을 입었음이라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이니라.”(창 3:19)  뿐만 아니라, 인간의 삶도 주기적으로 표현하였습니다. “범사에 기한이 있고 천하만사(天下萬事)가 다 때가 있나니, 날 때가 있고 죽을 때가 있으며 심을 때가 있고 심은 것을 뽑을 때가 있으며, 죽일 때가 있고 치료할 때가 있으며 헐 때가 있고 세울 때가 있으며, 울 때가 있고 웃을 때가 있으며 슬퍼할 때가 있고 춤출 때가 있으며, 돌을 던져 버릴 때가 있고 돌을 거둘 때가 있으며 안을 때가 있고 안는 일을 멀리 할 때가 있으며 …”(전 3:1-5f),  이것을 다시 전도서 기자는 “이제 있는 것이 옛적에 있었고 장래에 있을 것도 옛적에 있었나니 하나님은 이미 지난 것을 다시 찾으시느니라.”(전 3:15)고 말함으로써, 앞의 모든 일이 주기적임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순환을 가리켜 히브리어는 'dor’라고 말합니다. 'dor’는 '순환, 원'과 같은 어원에서 나온 것입니다. 더 자세히 말하면, 히브리인들에게 있어서 ‘주기'(週期)가 근본 사상이고, ‘순환’은 주기의 형상(形狀)으로 해석해야 할 것입니다. 주된 것은 주기입니다.  이 주기가 있기 때문에, 예컨대 ‘약속과 성취’라는 ‘역사의 유형’이 성립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주기를 히브리인들은, ‘별들의 운행’ 혹은 ‘태양의 운행’에서 알게 된 것이 아니라, ‘원무'(圓舞)에서 알게 된 것이라고, '보만'은 강조합니다. 그래서 처음은 다시 돌아와서 새로운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창세기 기자가 일곱째 날에는 저녁과 아침에 관한 어떤 언급도 하지 않은 이유는 - 보만에 의하면 - “제7일은 그 자체가 안식일이며, 일주(一週)라는 더 포괄적인 주기, 즉 휴일 - 평일 - 휴일의 마지막과 시작 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따라서 월(月)의 주기는 초승으로부터 시작하여 - 만월(滿月, 혹은 월의 전환) - 초승으로 돌아오는 것입니다. 해 바뀜은 추수가 끝난 후의 가을이고, 즉 해가 기운이 쇠퇴하는 시기였습니다. 한 인간의 일생은 - 창세기 3:19절에 의한 삶의 한 주기 - 흙에서 생겨나서 - 살다가 - 흙으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욥기는 “내가 모태에서 알몸으로 나왔사온 즉 또한 알몸이 그리로 돌아 가올지라. 주신 이도 여호와시요 거두신 이도 여호와시오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지니이다.”(욥 1:21)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죽음’을 ‘돌아가셨다’라고 표현하는 것은 다분히 히브리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히브리인들의 ‘주기적 시간관’에 의하면, 작은 주기가 차면, 보다 큰 주기로 넘어갑니다. 예컨대 4주가 되면, 한 달이 되고, 한 달이 12번 반복하면, 1년이 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런데 히브리인들은 그 단위를 7로 보았습니다. 그래서 7의 주기는 안식년과 희년의 주기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어떠한 주기든 그 마지막은 ‘안식’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희년입니다.  “너희는 오십 년째 해를 거룩하게 하여 그 땅에 있는 모든 주민을 위하여 자유를 공포하라 이 해는 너희에게 희년이니 너희는 각각 자기의 소유지로 돌아가며 각각 자기의 가족에게로 돌아갈지며, 그 오십 년째 해는 너희의 희년이니 너희는 파종하지 말며 스스로 난 것을 거두지 말며 가꾸지 아니한 포도를 거두지 말라. 이는 희년이니 너희에게 거룩함이니라. 너희는 밭의 소출을 먹으리라. 이 희년에는 너희가 각기 자기의 소유지로 돌아갈지라.”(레 25:10-13)  한 마디로 말하면, ‘희년’에는 모든 것이 원위치로 되돌아가서 다시 시작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7 x 7 = 49년 그리고 그 다음 해는 ‘희년'(禧年)으로서 새로운 주기의 시작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희년’에는 노예도 해방되고, 땅도 해방되고, 모든 것이 억눌리고 억압되었던 상태에서 자유를 얻는 해입니다. 이 희년의 해가 바로 모든 주기가 끝나고 새로운 커다란 주기가 시작하는 해입니다. 그 해는 바로 ‘참 안식의 해’입니다. 이런 점에서 창조역사의 거대한 주기가 ‘제7일 안식일’로 끝난 것으로 기술하고 있는 창세기의 역사관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뿐만 아니라, 요한 계시록이 세상의 종말을 옛 것이 지나고 새 하늘과 새 땅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도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요한 계시록은 새 하늘과 새 땅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새 하늘과 새 땅을 보니 처음 하늘과 처음 땅이 없어졌고 바다도 다시 있지 않더라 … "모든 눈물을 그 눈에서 닦아 주시니 다시는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하리니 처음 것들이 다 지나갔음이러라.   보좌에 앉으신 이가 이르시되 보라 내가 만물을 새롭게 하노라 하시고 또 이르시되 이 말은 신실하고 참되니 기록하라 하시고, 또 내게 말씀하시되 이루었도다.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마지막이라 내가 생명수 샘물을 목마른 자에게 값없이 주리니 … 나는 그의 하나님이 되고 그는 내 아들이 되리라.”(계 21:1,4-7) 옛 하늘과 땅이 없어지고, 이전의 모든 고통이 사라지고, 새 생명이 주어지는 곳 그곳이 바로 ‘하나님의 나라’인 것입니다. 끝. 2011. 1. 21.


山下연구소장: 양     견 박사 

 

 

 

 

출처 : 山下 연구소
글쓴이 : solomong 원글보기
메모 :

</!-by_daum->

'영혼의 글 > 사고의 유연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거스틴의 시간관  (0) 2019.01.05
[스크랩] 시간(히브리적 개념)  (0) 2019.01.05
언어의 배치와 뜻의 고집  (0) 2019.01.05
톨도트  (0) 2019.01.05
1층 집과 비밀 지하실  (0) 2019.01.05